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아나콘다
- 라이브러리
- 역할
- vscode
- MySQL
- 프로그래머스
- visual studio code
- OpenCV
- 플라스크
- 디버깅
- 판다스
- 리눅스
- 데이터분석
- 가상환경
- 머신러닝
- 파이썬
- 에러
- 데이터베이스
- 예제
- 우분투
- 엑셀
- 깃허브
- 코랩
- 디렉토리
- matplotlib
- 단축키
- 원격저장소
- SQL
- 기초
- 운영체제
- Today
- Total
취미와 밥줄사이
[ 그냥공부기록 ] 2022-08-29 본문
그냥 받아쓰기하면서 공부한 기록...
# 주 파티션(Primary Partition)
기본 디스크에서 만들 수 있는 파티션의 한 종류입니다. 주 파티션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디스크처럼 작동하며 운영체제를
설치하여 부팅할 수 있습니다.
- MBR 디스크
기본 디스크에는 주 파티션을 최대 4개까지 만들 수 있으며
-GPT 디스크
기본 디스크에는 주 파티션을 최대 128개까지 만들 수 있습니다.
# 확장 파티션(Extend Partition)
- MBR 디스크
1. 기본 디스크에 만들 수 있는 파티션의 한 종류입니다.
2. 기본 디스크에선 주 파티션을 최대 4개만 생성할 수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하나의 파티션을 확장 파티션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확장 파티션에는 주 파티션과 같은 역할을 하는 논리 드라이브를 개수의 제한없이
생성할 수 있습니다.
# 논리 드라이브(Logical Drive)
- MBR 디스크
1. 기본 디스크의 확장 파티션 내에서 만들 수 있는 파티션의 한 종류입니다.
논리 드라이브에는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지만 논리 드라이브 자체로는 부팅할 수 없습니다.
논리 드라이브에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경우 부팅을 담당하는 부트매니저는 다른 주 파티션에 위치하게 됩니다.
최대로 생성할 수 있는 논리 드라이브 개수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 파티션 형식 확인하기 및 변경하기(MBR, GPT)
PC에서 펌웨어 인터페이스는 메인보드의 설정화면에 진입하는 방법을 말하며, 레거시 모드와 UEFI모드가 있다.
윈도우 설치 시 메인보드의 펌웨어 인터페이스가 레거시 바이오스 모드인 경우 대상 디스크가 MBR 파티션 형식이어야 하며,
UEFI 모드인 경우는 대상 디스크가 GPT 파티션 형식이어야 한다. 이것은 MBR 파티션과 GPT 파티션의 부팅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
우리가 저장장치(HDD, SSD)를 실제 사용하려면 파티션을 생성하고 포맷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데, 어찌보면
파티션은 디스크의 형식을 정하는 과정이며, 포맷은 파일 시스템을 정하는 과정이다.
즉 물리적 저장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디스크를 최소한 하나의 논리적 공간으로 만들어야 하고, 해당 디스크의 파티션
형식을 정해야 하는데, 이 과정을 "파티션을 생성한다"라고 한다. 파티션 형식은 MBR과 GPT방식이 있다.
MBR: Master Boot Record
GPT: GUID Partition Table
GUID: Globally Unique Identifier (전역고유식별자)
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전역고유식별자)
활성 파티션은 컴퓨터가 시작되는 파티션으로 정의됩니다.
활성 파티션은 부팅하려는 운영체제에 대한 부팅 파일이 들어있는 특정 파티션입니다.
# MBR: Mastet Boot Recoder
하드에서 가장 먼저 읽히는 부분이다. 하드디스크의 전체적인 관리를 한다고 볼 수 있다.
4개의 파티션을 관리할 수 있다.
(참괴 최대 나눌 수 있는 파티션은 주파티션 3 + 확장파티션(논리 4개) = 7개)
또 주파티션마다 각각의 부트섹터(BootSector)가 할당되는데 이럴 경우 컴퓨터가 어느 곳의 부트섹터를 읽어서 부팅
을 해야하는지 모른다. 따라서 운영체제를 설치하게 되면 하드에서 가장 먼저 읽히는 MBR에 자신의 부트레코더(BootRecoder)
를 기록하여 자기가 실행되게 된다.
# Window BootManager란?
윈도우 부트 매니저라는 것은 메인보드가 UEFI이며, CSM 설정이 UEFI로 되어있고 윈도우 설치 환경이 UEFI로 설치가 이뤄진
컴퓨터에서 나타나는 방식입니다.
# Windows BootManager 부팅방식
UEFI CSM으로 설치된 컴퓨터의 경우는 디스크 구조 또한 efi 파티션이 존재합니다. EFI 파티션은 윈도우 부팅시 필요한
파티션으로 운영체제가 설치된 SSD/HDD에 존재해야 합니다. 디스크 관리에서 EFI파티션이 주 파티션 바로 좌, 우츠에
위차하고 바로옆에 주 파티션이 위치해야 올바르게 구동이 이루어집니다.
EFI 시스템 파티션은 바이오스 부팅 탭에서 보이는 Windows Bootmanger(운영체제가 설치된 디스크) 입니다.
UEFI로 설치된 윈도우는 EFI 시스템 파티션이 존재하고 이 EFI 시스템 파티션은 부팅 구동에 관여하는 파티션으로
이것이 바이오스 부팅 탭에 보이는 [Windows BootManger(운영체제가 설치된 디스크)]입니다.
Legacy 타입으로 설치된 운영체제는 Windows BootManager 항목 자체가 없습니다. 레거시의 경우는 MBR 디스크 구조를
가졌기 때문에 EFI 파티션 자체가 없고, C드라이브(운영체제가 설치된 드라이브)에 윈도 파일을 불러와 부팅이 이뤄지는 구조입
니다.
# Windows BootManager가 1순위이어야 하는 이유
윈도우를 구동하기 위해서 EFI 시스템 파티션이 Windows BootManager이기 때문에 이것이 #1(1순위)가 아니면 윈도우
부팅속도가 느려지거나, 부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1순위로
# 컴퓨터 부팅
부팅이란 PC가 켜진 후에 운영체제(이하 OS)가 실행되기 전까지 수행되는 일련의 작업과정을 말한다.
BIOS -> 부트로더 -> 커널 -> OS
제일 먼저 PC의 전원이 켜지면 ROM에 들어있는 BIOS가 로드된다.
BIOS는 컴퓨터에 연결된 저장매체에서 설정된 부팅 순서대로 부트로더들을 불러온다.
이 떄, 하드디스크가 첫 번째 부팅장치로 설정되어 있으면, BIOS는 하드디스크이 부트로더를 로드한다.
부트로더는 커널을 메모리에 로드하고 최종적으로 OS를 읽어내는 역할을 한다.
부팅 과정 중에서 부트로더 동작 전 단계까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한 다음과 같다.
PC전원 -> CPU초기화 -> CPU 테스트 -> Power On Self Test(POST) -> PSOT 결과 확인 -> 부트로더를 메모리로 복사
[전기적 흐름 -----------] [BIOS ----------------------------------------------------------------------------------------]
만약 BIOS가 부팅 가능한 모든 장치를 검사했는데도 부트로더를 찾을 수 없다면 BIOS는 'Operating System Not Found'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고 작업을 중단한다.
REFERENCE
https://www.hanbit.co.kr/media/channel/view.html?cms_code=CMS4159854570&cate_cd=
https://goaway007.tistory.com/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