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와 밥줄사이
[AWS] AWS RDS - 프리티어 생성방법 본문
AWS RDS이란?
- 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
-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더 쉽게 설치, 운영 및 확장할 수 있는 웹 서비스
- 데이터베이스를 안정적으로 관리해주고 규모가 커졌을 때 쉽게 관리 해주는 서비스
기능
- 백업, 소프트웨어 패치, 자동 장애 감지 및 복구를 관리함
- MySQL, MariaDB, PostreSQL, Oracle 및 MS SQL 같은 DB 제품을 사용할 수 있음.
특징
- 쉽고 빠른 구성
- 빠르고 예측 가능한 성능
- 반복적인 관리작업 대신 수행
- 쉽고 빠른 확장
- 높은 비용 효율성
AWS RDS 사용방법
- AWS 홈페이지
- https://aws.amazon.com/ko/free/?nc1=h_ls
- 회원가입 / 로그인
- 서비스 --> RDS 선택
4. 데이터베이스 생성 클릭
5. 본인이 사용할 엔진 선택
- MySQL 사용예정
- AWS 유료 서비스이므로 과금 조심하기
- 학습용으로는 AWS 프리티어 사용 추천
- DB 인스턴스 식별자: DB 인스턴스의 이름, DB인스턴스를 여러 개 생성할 경우 구별하기 위한 것
- 마스터 사용자 이름: DB USER ID, DB 접속시 사용할 USER ID
- 마스터 암호: PASSWORD, DB 접속시 사용할 PASSWORD
- VPC(virtual Private Cloud): AWS안에서 웹으로부터 독립된 안전한 네트워크를 구성해주는 서비스
- 서브넷 그룹: VPC에서 DB인스턴스의 사용 IP범위 지정
- 퍼블릭 엑세스 기능성: EC2를 만들어서 RDS를 사용할 때 VPC를 이용하고 외부 인터넷에서 RDS를 바로 사용할 땐 사용하지 않는 것이 간단한 설정
- VPC 보안 그룹: 같은 VPC에 연결 하는 것이 아니라 지정한 것끼리만 접속 할 때 사용
6. 데이터베이스 생성
- DB 인스턴스는 약 10~20분 정도 후에 생성됨
REFERENCE
https://develop-im.tistory.com/12
[AWS] AWS RDS 사용방법 - 생성
AWS RDS 사용방법 - 생성 AWS RDS이란? (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 :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더 쉽게 설치,운영 및 확장할 수있는 웹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안정적으로 관리해주..
develop-im.tistory.com
'Infrastructure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WS RDS - 외부 접속 (0) | 2021.11.02 |
---|---|
[AWS] EC2 Ubuntu18.04 mongodb 설치방법 (0) | 2021.10.15 |
[AWS] AWS이란?? (0) | 2021.10.14 |
[AWS] EC2 생성방법 (0) | 2021.10.14 |
[AWS] - Permissions 0555 for '[your].pem' are too open. (0) | 2021.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