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와 밥줄사이
URL 인코딩과 디코딩 본문
URL 인코딩을 하는 것은 문자를 컴퓬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변형하는 것이고 디코딩 하는 것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번형을 하는 것이다.
인코딩과 디코딩( Encoding & Decoding)
- 컴퓨터는 문자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숫자로 변환되어 저장
- 변화해주기 위해서는 기준이 있어야하는데 이것을 문자 코드라고 하며 대표적으로 아스키코드와 유니코드가 있다.
- 문자 코드를 기준으로 문자를 코드로 변환하는 것을 문자 인코딩(encoding)
- 코드를 문자로 변환하는 것을 문자 디코딩(decoding)
- 인코딩 / 디코딩은 정보의 형태나 형식을 변환하는 처리에 대해 표준화하고 보안, 처리속도 향상, 저장 공간 등의 목적으로 사용
아스키코드(ASCII)
- 미국정보교환표준부호의 약어
- 매우 단순하고 간단하여 어느 시스템에서도 적용 가능
- 2바이트 이상의 코드를 표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
- ISO 8859-1: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정의한 확장 ASCII이며 서유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문자들을 포함. 'ISO Latin 1'이라고 함.
- CP949: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정의한 한글 문자 집합, EUC-KR에서 지원되는 한글 2350자 외에 나머지 8822가 추가됨
유니코드(Unicode)
- 확장 ASCII와 같이 영어 이외의 언어를 사용하기 위해 국가별 인코딩 표준이 만들어짐
-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다른 지역 간의 다른 언어를 사용한 문서 교환이 활발해져 문제가 발생
- 모든 문자 체계를 하나의 문자 집합으로 만든 것이 유니코드
- UTF(Unicode Tranformation Format)
REFERENCE
https://freestrokes.tistory.com/71
인코딩과 디코딩 (Encoding & Decoding)
인코딩과 디코딩 (Encoding & Decoding) 컴퓨터는 문자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숫자로 변환되어 저장됩니다. 변환해주기 위해서는 기준이 있어야하는데 이것을 문자 코드라고 하며 대표적으로 ASCII
freestroke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