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T (418)
취미와 밥줄사이
Windows Server Windows Server 2003 최초로 독립되어 출시된 MS의 서버 운영체제이다. Windows XP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성능개선판인 R2가 출시되었으며, Service Pack 2까지 지원했다. Windows Server 2003의 버전 or 업데이트별 새로운 기능 Windows Server 2003 Windows Server 2003 SP1 Windwos Server 2003 R2 Windows Server 2003 SP2 - IIS v6.0 - 기본 보안 개선 - 메시지 쿼링 개선 - 개인 서버 관리 도구 - 액티브 디렉터리 개선 - 그룹 정책 관리 개선 - 디스크 관리 개선 - 명령 줄 도구 개선 - 하드웨어 기반의 감시타이머 지원 - 보안 구성 마법사 - 핫 패..
Linux 흔히 말하는 리눅스는 리눅스 커널을 이용한 운영체제인 리눅스 배포판을 가리킨다.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Red Hat Linux를 개발, 배포하던 레드햇에서 페도라 프로젝트를 분리하여 만들어진 버전이다. 라이선스를 따로 판매하지는 않고 정기구독 형태로 계약하는 상용 리눅스 배포판이다. 데스크탑용, 베이스 서버용, 고급 플랫폼 용 세가지로 나뉘며 상업용 패키지는 따로 판매한다. RHEL의 소스코드는 무료로 배포된다. 상업용 리눅스이므로 강력한 관리툴과 기술지원 강점이다. Fedora 레드햇에서 분리되어 나온 페도라 프로젝트에서 레드햇의 후원을 받으며 개발하는 무료 리눅스 배포판이다. 6개월에 한 번 정도 새로운 벚번 배포, 지원기간은 각 버전마다 13개월로 상대적..
ECC(Error-Correcting Code: 에러 검출 정정) 메모리 패리티비트를 사용하여 에러를 검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메모리로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일반적인 램보다 메모리 칩이 1개 더 많다. 메모리 64bit당 8bit의 ECC(패리티) 코드를 추가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 전송 중 일어나는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낟. 보통 메모리 칩의 개수가 일반 메모리 8의 배수, ECC메모리는 9의 배수로 존재한다. 그 외에도 Registered ECC Memory가 존재한다. Registered ECC Memory Registered ECC Memory는 이름 그대로 레지스터가 장착된 ECC메모리를 말하며 레지스터의 역할은 신호왜곡의 제거, 다시 말해 신호의 정렬이며, 이는 ..
서버용 메인보드 특징 IPMI(Intelligent Platform Management Interface)를 지원한다.(=하드웨어 레벨에서의 원격관리가 가능하다) 서버의 상태 모니터링과 사용전력까지 확인할 수 있다. IPMI를 활용하면 원격으로 부팅, 하드웨어 리셋 등이 가능하다. 최소한의 동작을 위한 칩셋 이외의 부가기능을 가지는 칩셉이 존재하지 않는다. 서버는 클라이어늩와 통신을 위한 장비이므로 사운드 카드 칩셋을 필요로 하지 않고, 그래픽 카드도 최소한의 정보만 출력해주면 되므로 서비스에 필요한 칩셋이 필요하지 않다. ECC(Error Checking & Correction) 메모리를 지원한다. ECC란 메모리에 처리된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고 보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서버용 메인보드의 확장성 CP..
CPU 데스크탑 환경은 일반적인 PC 및 멀티미디어, 게임 환경을 처리에 목적이 있어 여러 개의 CPU를 동시에 사용해 처리하는 환경을 찾아보기 어렵지만 서버 환경은 대량의 작업에서 효용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므로 여러 개의 CPU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보편적이다. 멀티 프로세서의 지원 여부 서버 프로세서와 데스크탑 프로세서를 구분하는 큰 차지 중 하나가 멀티 프로세서 지원이다. 멀티 프로세서란 말 그대로 여러 개의 프로세서(CPU)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데스크탑이 상대적으로 데이터 처리량이 적은 것에 비해 서버는 대량의 데이터 처리 작업에서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대규모 처리에 적합한 고성능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여러 개의 프로세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었다. 지원 기술의..
IDE 하드디스크 등 주변장치 설치가 쉬우며 SCSI 디스크만큼 빠르면 가격이 저렴하다. 디스크 이외에도 다양한 주변장치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널리 쓰이는 인터페이스이다. IDE 방식은 CPU에 의해 제어되는 Programmed I/O 기능을 사용하기 때문에 대부분 CPU에서 작업을 처리하므로 시스템의 속도를 떨어뜨리는 것이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된다. 페리티 체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료 전송 에러를 발견할 수 없다. 케이블 길이가 짧기 때문에 대부분 내장형 장치로 제공된다. SATA IDE방식은 연결할 수 있는 기기 수의 한계, 병력 방식의 단점인 신호 간섭 등의 이유로 전송 속도 또한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직렬통신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적용되었으며, 하나의 연결 당 하나의 채널로..
서버와 PC의 차이점 서버 PC HDD 주로 SCSI / SAS 인터페이스 사용 주로 IDE / SATA 사용 CPU 빠른 속도, 높은 캐시메모로 용량 등 고성능의 CPU를 복수 개 사용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성능에 맞춰 보통 1개의 CPU 사용 Mainboard I/O 패널 구성의 차이 높은 안정성 수십개의 메모리, 디스크 베이 안정성보다 확장성에 중점 RAM 빠르고 많은 데이터 처리를 위한 고용량의 램 사용 서버에 비해 저용량 OS UNIX, Windows Server 등 전용 OS GUI 위주의 편의성 호환성 중시의 OS Power 24시간 작동해야 하므로 예비 전원 공급장치 설치 대개 500W의 공급전력으로 전력부족으로 작동하지 않는 장치가 발생하기도 함 냉각시스템 과열에 의한 장애 발생을 최소화..

CPU, Memory 사용 상태 확인 작업관리자(taskgmr) 실행 후 CPU 사용량, Memory 가용량 확인 RAID 컨트롤러 확인 [장치관리자(devmgmt.msc)-[저장소 컨트롤러]에서 RAID 컨트롤러 확인 시스템 펌웨어 확인 시스템정보(msinfo32)에서 OS 및 버전, 각종 정보확인 네트워크 연결상태 확인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Ping 명령어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상태 확인 이벤트 로그 확인 이벤트뷰어(eventvwr.msc) 실행, [이벤트 뷰어] - [Windows 로그] - [시스템]에서 [현재 로그 필터링]-[필터]에서 "위험, 경고, 오류" 체크 후 이벤트 로그 확인 파일 시스템 상태 확인 디스크관리(diskmgmt.msc)에서 RAID 구성 및 디스크 가용량 확인 가능 하지만 ..